안녕하세요?
저는 청도김씨 고창파 26세손 김용극이라고 합니다.
족보를 보다가, 항렬표와 관련하여 궁금점이 생겨서 질문 드립니다.
이 홈페이지의 항렬표를 보면 21세손 O만, 22세손 O희, 23세손 O시, 24세손 진O, 25세손 O호, O승, 26세 재O..등 으로 되어있는데요.
제가 고창파중에서 두암파 대절계에 속하는 26세손이고 제가 알기로도 저는 원래 재(在)O 자 돌림인걸로 알고 있습니다.(이것은 이곳 항렬표와 똑같은 데요..)
근데 저희 아버지세대(25세손)은 O용(容) 자 돌림이시고, 저희 할아버지 세대(24세손)는 수(秀)O 자 돌림이시고 그 위에 저에게 증조할아버지 이상되시는 세손님들..(21세손부터 23세손 할아버님들..)도 이곳 항렬표의 항렬과 똑같지가 않았습니다.
혹시나 항렬표가 계파마다 틀린건지 혹은 더 복잡하게 나아가서 계파내의 분파에 따라서 또 틀린건지 싶어서 여쭈어 봅니다.
PS. 디지털 족보 작업을 하신다고 보았는데, 알려드릴 수단과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좋은 하루 되십시오.
초면(初面) 일지라도 동성동본(同姓同本)이면 서로 항렬을 비교하여 할아버지뻘인지 숙(叔)과 질(姪)인지 형제(兄弟)뻘이 되는지 금방 알 수 있게 되지요.
항렬은 아무나 마음대로 정하는 것이 아니고, 문중(門中)에서 족보를 편찬할 때 일정한 대수 끼리의 항렬자와 그 용법을 미리 정해 놓아 후손들이 이에 따르도록 하는 것이 관례(慣例)로 되어있습니다.
항렬자(行列字)를 정하는 법칙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5단위<오행(五行), 즉 금(金), 목(木), 수(水), 화(火), 토(土)> 기준 반복법, 10단위<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 기준법, 12단위<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 기준 반복법의 글자를 반복 사용하는 경우 등을 들 수 있습니다.
또한 파의 후손이 많으면 파별로 따로 정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용극일족님이 말씀하신대로 현재 홈페이지에 나와있는 항렬표와 가까운 집안에서 사용하는 항렬자가 다른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하자면 항렬자가 항렬표와 다르다 하여 틀린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전자족보와 관련하여 수단을 제출하시는 것에 대해서는 본 홈페이지의 대동보 > 대동보FAQ에 보면 상세한 안내와 서식을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서식을 다운받아 작성하여 꼭 수단을 제출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