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왜란 당시 진주성 전투를 다룬 조열태의 소설 ‘진주성 비가(悲歌)’는 김해 성주인 서예원과 밀양 평민인 최억술을 주인공으로 내세워 이야기를 전개한다. 피신하던 최억술이 성(城)을 버리고 도망가던 서예원을 도우면서 둘은 운명적으로 진주성에 입성한다. 작가는 신분이 다른 두 사람이 진주성에서 장렬히 전사하는 과정을 비감어린 문체로 채록했다. 하지만 역사는 진주 성주로서 성을 지키며 지난 과오를 씻으려는 서예원을 끝내 외면하고 만다. 작가는 서예원은 겁쟁이가 아니며, 김시민과 다를 바 없는 영웅으로 기록돼야 마땅하다고 말한다. 진주성에는 지금 서예원의 흔적은 없다.
왜군과 맞서 싸운 1, 2차 진주성 전투 이야기는 촉석루와 남강을 빼놓은 채 전개될 수 없다. ‘진주성 비가’에서 보듯, 성주 서예원을 포함한 김천일·최경회 등은 촉석루에서 임금이 있는 북쪽을 바라보며 예를 갖추고 남강에 뛰어드는 등 비장하게 죽어간다. 이처럼 임진 전투에서 논개와 의암을 품은 남강은 성을 지키는 요새였고, 촉석루는 전장의 지휘소 자격을 끝내 놓지 않았다는 사실을 역사는 써내고 있다.
진주성을 굽어보는 누각 촉석루(矗石樓)는 그 역사만큼이나 영욕의 켜도 많이 지니고 있다. 고려 공민왕 14년(1365) 창건 이후 8차례의 중건과 보수를 거쳤다. 정부 수립 해인 1948년에 국보(276호)로 지정됐지만 한국전쟁 때 완전 소실된 탓에 1956년에는 국보의 자리를 내놓는 비운을 맛본다. 이후 이승만 대통령의 지시로 1960년에 복원됐지만, 노력도 헛되이 1983년 가장 낮은 문화재 등급인 지방문화재로 좌천된다. 밀양 영남루, 평양 부벽루와 함께한 3대 누각의 명성은 온데간데없이…. 복원 당시엔 ‘목수계의 정승’으로 불린 도편수 임배근, 전북 최고 대목장인 인간문화재 고택영 등이 참여했다.
촉석루를 다시 국보로 만들자는 시민운동이 전개되고 있다. 10년 전인 2004년 첫 국보 환원운동을 할 당시에는 문화재청이 내세운 ‘중건 후 50년’ 기준에 못 미쳤지만 올해 복원 53년을 넘긴다고 한다. 이들의 주장은 보물로 지정된 영남루가 소실된 이후 촉석루를 본떠 중건됐고, 숭례문도 화재로 원형이 거의 소실된 이후 복원됐는데도 국보 1호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는 것. 문화재는 그에 얽힌 주변의 역사적 가치도 매우 중요하다. 촉석루는 그 자체가 진주성이며, 풍전등화의 조선을 구한 남강과 논개의 이야기다. 지방문화재로 두기엔 촉석루가 지닌 품격이 아까운 것 같다.
정기홍 논설위원 hong@seoul.co.kr
서울신문 2013-06-21 31면